마을박물관

작성자 정보

  • 월암4리 일로읍 월암 작성
  • 월암

  • 작성일

컨텐츠 정보

아카이브 정보

기본현황

세대, 인구수
100세대 인구는 200여명
자연마을 구성
미기재
지명유래
월암이란 지명은 우리 지역에 많이 있는데 이 마을은 서쪽 등성이에 있는(현재 일로초등학교 안) 달바위에 의해 월암이라 이름하였다. 문헌으로 지명의 유래를 보면 1789년의 호구총수에는 나오지 않는다. 이후 1912년과 1917년의 자료에 비로소 월암리가 나온다
마을형성(입향조)
월암은 월암4리에 속하는 마을로 200여년 전부터 천안전씨 김해김씨 등 십여 호로 형성되었다. 이후 천안전씨나 김해김씨 등은 다른 마을로 이주하고 현재는 복합성씨의 마을이 되었다. 이 마을 최초의 입향조로 볼 수 있는 사람은 이로면 내화촌(현재는 목포시 삼향동 내화촌)에서 이주한 나주정씨 정순섭(자-봉원. 1892-1981)이다. 공은 일로역 보선사무소장으로 근무하면서 이 마을에 정착하여 일가를 이룬 것이다. 무안군에서 발행한 마을유래지에도 ‘나주정씨 정봉원이 1886년경 삼향면 하당에서 이주했다. 정씨가 이곳에 이주할 당시 노씨 김씨 임씨 등이 살고 있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풍수지리(마을형국)
사람들은 일로읍에서 제일 좋은 터 두 자리가 있다고 한다. 하나는 토지개량조합이 있는 자리이고 또 하나는 이 마을의 보해상사가 있는 자리다. 보해상사 터는 예전에 죽산리에 있었던 면사무소가 옮겨 온 자리이기도 하다. 또한 보해상사 앞은 일제강점기 초기까지 옹기배가 다녔던 선착장이기도 하였다. 1920년대 영화농장이 들어서기 전까지는 그곳까지 바닷물이 들어왔기 때문이다. 지금도 상사 주변을 파면 수많은 옹기 파편들이 발견된다. 이 상사 앞에서 무전산까지 둑이 있었는데 지금도 주민들은 둑방길이라 부른다.
마을성씨
현재는 복합성씨 마을이다.

마을변천

마을 명칭 변경
월암리를 포함한 오늘날의 일로읍 소재지는 일본세력이 진출하기 전에는 매우 한적한 농촌 취락지였다. 1915년 지적원도를 보면 역전통 부근에서 대지는 3개 지번밖에 없었고 일로초등학교 부근에는 조그만 마을이 있었을 뿐이다. 일제가 철도역과 면소재지를 월암리에 설치하면서 신흥 중심취락으로서 기능을 갖추기 시작한것이다. 1913년 처음 일로역이 개통될 때의 이름은 삼향역이었다. 당시에는 일로보다는 나주의 영내 삼향의 위상이 훨씬 높았기 때문이다. 이후 1924년에 일로역으로 개칭한다.
행정구역 변경
미기재
마을 성격(주업/주민의 삶)
벼농사가 주업이다.
주요시설
1900년대 초에 죽산리에 있던 면사무소를 이 마을로 옮기고 1922년 일로보통학교 그리고 금융조합과 1937년 일로우편소가 마을에 들어서면서 마을이 커졌다.
마을변화
미기재

생활환경

마을조직
노인회와 부녀회가 있다.
공동이용시설
미기재
전통식품/특산품
미기재

자연환경

생태환경(무생물,산‧강‧들)
마을에는 길 옆의 깡샘을 비롯한 4개의 샘이 있었다. 철뚝넘어 큰 샘은 식수와 빨래 등 생활용수로 사용하였다. 겨울철에도 물이 따뜻하여 빨래하기 좋았다. 농사철에 양수를 하여 사용하였고 한해 때 인근 4개 마을이 사용 할 수 있도록 물이 풍부했다. 큰 일이 일어나면 물이 뒤집어진다고 표현하는데 물이 흐려진다고 하고 사고가 났다고 한다. 보해상사 안에 샘이 있고, 타래박질을 해서 먹었다. 잔등위의 샘과 마을회관 앞에도 샘이 있었다.
동/식물
보해상사 앞에 벚꽃나무 당산나무 두 그루가 있다.
지역에서 사용하는 명칭들
미기재

민속환경

축제/제전/의례
마을 어르신들이 보름에 농악놀이를 하였다.
유물, 유적
마을에는 천안전씨의 흔적이 크게 남아있다. 마을회관 앞에 관리가 잘 되지 않은 천안전씨 삼강문이 있다. 정면 3칸 측면 1칸의 팔작지붕인데 그 안에 효자비나열부비는 없고 1864년에 세워진 것으로 보여지는 御賜丹書라고 쓰여진 全 龍의 충신비(향교지에는 전용당으로 표기 되었다) 하나만 덩그러니 남아있을 뿐이다. 이 삼강문의 주인공들은 다음과 같다. 충신 전 용은 임진왜란 시 선조께서 의주 피란길에 오를 때 호종을 하면서 공을 세웠다. 그 후 秋官의 벼슬을 제수 받고 33년 후 갑자년에 靖社勳臣에 기록되고 鐵券(조선 시대, 나라에 공을 세운 신하들의 공적과 그에 따른 상훈을 기록한 서책.공신에게 나누어 주었다) 을 하사받았다. 열부 탐진 최씨는 전 용의 7대손인 전인익의 처로서 매사에 법도와 의례에 벗어난 적이 없으며 남편의 병환이 위급하자 두차례나 자신의 허벅지 살을 베어 공양하였다. 효자 구상과 경상은 당시 어렸으나 어머니가 자신의 살을 베어 아버지 병구환을 하는 것을 보고 자신들도 손가락을 잘라 피를 드시게 해 부친을 회생시켰다. 또한 마을에 전씨 소유의 6칸 ㄷ자 형의 큰집이 얼마 전까지 있었으나 현재는 많이 훼손되어 일부만 남아있다. 뿐만 아니라 전씨의 후손들은 일제 강점기에는 일로 경방대장(현재의 소방대장)을 맡았고 해방 이후에는 대동청년단의 간부를 맡아 활동을 하기도 하였다.
설화
마을 이름이 되기도 한 달바위는 일로초등학교 안에 있는데 예전에는 학교 옆 등성이에 덩그러니 놓여 있었던 바위였다. 그런데 언제부턴가 이 바위 때문에 남창천 건너 삼향읍의 용포 마을 처녀들이 바람이 난다고 여겨 문제가 생겼던 것이다. 해서 용포 사람들은 바위를 세우지 못하게 하고 월암리 사람들은 바위가 서야 마을이 잘 된다고 믿고 세우려고 한데서 갈등도 많았다고 한다. 그래서 나온 대안이 달바위 주변에 대나무를 심어 가리게 되었는데 현재는 대나무는 없고 바위도 일로초등학교 안에 놓이게 되었다. 바위를 자세히 보면 조그마한 구멍이 뚫어져 있다. 이것은 일제강점기 때 일본인들이 영화농장의 둑을 쌓으면서 돌이 필요해 이 돌을 가져가려고 뚫어놓은 남포구멍이다. 하지만 주민들의 거센 반발에 의해서 가져가지 못하고 당시에 뚫었던 흔적만 남아있는 것이다.
기록물, 문헌
미기재

인물

장인/명장/기능보유자/예술인
독립유공자 정동근님은 1993년 증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유명인/역사인물/고위공직자
마을에는 교장 교수 등 교육계 인사들이 많이 배출되었다. 또한 일로 문화상품의 대명사인 품바 타령의 1대품바인 정규수의 고향이기도 하다. 정규수의 부친 또한 마을에서 조리중(농악이나 오광대놀이에 등장하는 인물로 중의 탈을 쓰고 춤을추는 사람)으로 불려질 정도로 뛰어난 예인이었다.
거처/생가/묘소
미기재

특이사항 및 추가내용

주요사건사고
미기재
마을자랑거리(경승지, 공원, 경관, 풍경)
마을 주민들은 월암이 일로에서 가장 살기 좋은 마을 중에 하나라고 자랑한다. 주민들이 텃세가 없어 외지인들도 쉽게 들어와 자리 잡을 수 있으며 주민들의 화합이 잘 되어 다투는 목소리가 마을을 벗어난 적이 없었다고 한다. 학교, 병원, 버스, 시장도 가까워서 살기가 좋아서 집이 나오면 바로 팔린다고 한다.
주변개발사업, 기업체
미기재
주민요구사항
미기재
넓은 지역, 타지역이야기
미기재
기타사항
일로읍에서는 마을이 제일 성해 한때는 마을에 두 사람의 무당이 자리 잡기도 했다. 평정에 있었는데 중할매라는 분은 동냥도 다니고 아픈사람을 보고 다녔다.

본문

메모

관련자료